아시아 탐험대

일본의 주요 통신사와 다양한 선택지: 일본 통신 시장을 알아보자

아시아 탐험가 2025. 4. 29. 03:49
반응형

일본을 여행하거나 장기 체류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 현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신사와 요금제에 대해 궁금할 것입니다. 일본 통신사는 한국의 SKT, KT, LG U+처럼 잘 알려진 회사가 있지만, 더 다양한 브랜드와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본의 주요 통신사부터 최근 시장 변화와 소비자들이 주목하는 새로운 통신 옵션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일본의 주요 통신사 알아보기: "빅3"와 라쿠텐 모바일

① NTT 도코모(NTT DOCOMO)

  • 개요:
    일본 최대 규모의 통신사로, 1990년대 초반부터 이동통신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름에 쓰인 '도코모'는 일본어로 "모든 곳에"라는 뜻을 가진 표현으로, 광범위한 서비스망을 자랑합니다.
  • 시장 점유율: 약 40% 이상으로 추산되며, 일본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주요 특징:
    • 넓은 LTE와 5G 네트워크 커버리지
    • 안정된 속도와 품질
    • 다양한 서비스와 요금제(특히 가족 할인 요금제에서 강점)
  • 대표적인 요금제:
    • 'ahamo(아하모)'라는 저가 브랜드를 출시하여, 젊은층과 알뜰 소비자를 겨냥한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② 소프트뱅크(SoftBank)

  • 개요:
    소프트뱅크 그룹은 일본에서 통신뿐 아니라 IT, 금융, AI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는 거대 기업입니다.
    통신 부문은 2004년 보다가폰(Vodafone)의 일본 사업을 인수하며 본격적인 휴대전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 시장 점유율: 약 25~30%
  • 주요 특징:
    • 대학생과 같은 젊은 고객층 목표 프로모션 강세
    • 애플과 손잡고 아이폰을 일본 시장에 최초로 도입한 통신사
    • 와이파이와 인터넷 결합 할인 서비스
  • 대표적인 브랜드:
    • 야후모바일(Y!mobile): 소프트뱅크 계열의 저가형 요금제 브랜드

③ KDDI(au)

  • 개요:
    KDDI는 'au'라는 브랜드로 운영되며, 일본에서 소프트뱅크와 함께 주요 경쟁자로 활동 중입니다.
    1980년대 몇 개의 소규모 회사들이 합병하여 형성된 이 통신사는 현재 일본의 2위 사업자로 평가됩니다.
  • 시장 점유율: 약 30%
  • 주요 특징:
    • 넓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 유선 통신과 모바일 통신 결합 서비스 제공
    • au PAY와 같은 금융·결제 서비스로 영역 다각화
  • 대표적인 저가 브랜드:
    • UQ모바일(UQ Mobile): 저가형 요금제를 원하는 소비자층 겨냥

④ 라쿠텐 모바일(Rakuten Mobile)

  • 개요:
    2020년 이후 등장한 신생 통신사로, 일본의 대형 전자상거래 기업 라쿠텐(Rakuten)가 설립했습니다.
    • 시장의 기존 3대 통신사 사이에서 경쟁을 강화하고 가격 경쟁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 시장 점유율: 빠르게 성장하는 중이나, 아직 '빅3' 보다는 점유율이 낮은 상태입니다.
  • 주요 특징:
    • 하나의 요금제로 데이터를 무제한 제공하는 시스템
    • 네트워크 품질 문제 해결을 위해 강도 높은 기술 투자를 진행 중
    • 라쿠텐 생태계(라쿠텐 포인트, 온라인 쇼핑 등)와 통합 서비스 제공
  • 대표적인 요금:
    •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자동으로 정해지는 "UN-LIMIT VII"

2. 일본의 통신 시장: 전통과 혁신의 공존

① 주요 통신사가 '3+1' 체제로 변화

과거에는 NTT 도코모, 소프트뱅크, KDDI 세 업체가 거의 시장을 독점했으나, 2020년 라쿠텐 모바일이 등장하면서 '빅3' 체제가 조금씩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라쿠텐은 저렴하고 간소한 요금제를 앞세워 젊은층과 가격 민감도가 높은 고객층으로 빠르게 확장 중입니다.

② 저가 브랜드와 알뜰폰 MVNO의 등장

  • 일본에서는 주요 통신사 외에도 많은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MVNO)**가 등장해 경쟁이 치열합니다.
  • MVNO는 주요 통신사의 네트워크를 빌려 저렴한 요금제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 대표적인 MVNO: 빅글로브(Biglobe), OCN 모바일(OCN Mobile One) 등

③ 5G와 IoT 시대에 발맞춘 서비스 확대

  • 일본 통신사들은 5G 네트워크 확장을 진행하며, 각종 IoT(사물 인터넷) 장비와 연결된 가전 제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NTT 도코모는 일본 전역을 아우르는 최신식 5G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큰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3. 일본 통신 서비스 가입 팁

① 외국인도 쉽게 요금제 가입 가능

일본에서는 외국인도 여권과 재류 카드(비자)가 있으면 쉽게 통신사 서비스를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 가입 시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마이넘버(My Number) 제출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② 선불 vs 후불 요금제 비교

  • 선불 요금제: 단기 여행자나 학생들에게 적합하며, 심카드를 구입해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 가장 인기 있는 선불 심카드: b-mobile, JP Smart Prepaid 등
  • 후불 요금제: 장기 체류자에게 적합하며, 매달 정기적으로 요금을 납부합니다.

③ 추천 요금제

  • NTT 도코모의 '아하모(ahamo)': 데이터 위주의 젊은층 타겟
  • UQ모바일(UQ Mobile): 3~6GB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저가 요금제
  • 라쿠텐 UN-LIMIT: 무제한 데이터 플랜으로, 일본 내 라쿠텐 생태계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

4. 일본과 한국의 통신 시장 차이점

① 요금제 경쟁의 강도

  • 한국은 3개 통신사가 비슷한 수준의 요금제를 제공하지만, 일본은 다양한 저가 브랜드와 MVNO가 있어 더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 일본은 사용자층에 맞춘 세부 요금 플랜이 많은 편입니다.

② 커버리지와 품질 차이

  • 일본 통신 시장은 지역 커버리지와 속도면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한 네트워크 품질을 제공합니다.
  • 특히, NTT 도코모는 산간 지역까지 포함해 매우 안정적인 커버리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5. 일본 통신사 선택 가이드: 내게 맞는 통신사는?

① 단기 여행객인 경우

  • 선불 심카드 추천: 데이터만 많이 필요한 경우
    • b-mobile: 저렴하고 여행객 전용 요금제 다양
    • JP Smart Prepaid: 공항에서 쉽게 구매 가능

② 장기 체류자, 유학생, 직장인의 경우

  • 월간 요금제를 고려:
    • 가격 중시: UQ모바일, 야후모바일 같은 저가 브랜드
    • 품질 중시: NTT 도코모, KDDI(au)
    • 무제한 데이터: 라쿠텐 모바일

③ 가족이나 동거인을 포함한 경우

가족 플랜 할인 혜택이 좋은 주요 통신사의 요금제를 추천드립니다.


결론: 더욱 진화하는 일본 통신 시장

일본 통신 시장은 전통적인 '빅3(도코모, 소프트뱅크, KDDI)'와 신흥 강자 '라쿠텐 모바일'의 등장으로 과거보다 선택지가 더 풍부해졌습니다. 본인의 체류 기간, 예산,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적합한 요금제를 선택하고, 저렴하고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활용해 일본 생활과 여행을 더욱 즐겁게 만들어 보세요!


참고 자료

  1. NTT DOCOMO 공식 웹사이트
  2. SoftBank 공식 웹사이트
  3. KDDI (au) 공식 웹사이트
  4. Rakuten Mobile 공식 웹사이트
  5. 일본 MVNO 비교 사이트 Biglobe



반응형